no image
[java] 논리형 타입과 논리 연산자(비교, 논리)
☕ 자바의 타입에는 기본형 타입과 레퍼런스 타입 2가지 종류가 있다. - 기본형 타입은 논리형, 문자형, 정수형, 실수형이 있다. - 기본형 타입 중 논리형 타입은 boolean 키워드를 사용한다. - 기본형 타입 중 정수형 타입은 byte, short, int, long 키워드를 사용한다. - 기본형 타입 중 실수형 타입은 float, double 키워드를 사용한다. - 기본형 타입 중 문자형 타입은 char 키워드를 사용한다. - 이를 제외한 모든 타입은 레퍼런스 타입이다. ☕ 참인가? 거짓인가? - 프로그래밍은 어떤 조건에 따라서 다르게 동작하게 코드를 작성하는 경우가 많다. - 온도가 30도이상일 때 동작한다. 가격이 5000원 이하일 때 동작한다. 등의 표현을 보자. 여기에서 "30도 이상", ..
2023.03.06
no image
[java] 코드는 한줄씩 차례대로 실행된다
☕ main()메소드 안의 내용은 차례대로 실행된다 - main()메소드 안의 내용이 한줄씩 실행된다. - System.out.println("김성박"); 1) 아래의 코드는 "김성박"이라는 이름을 출력한다. 2) 그리고 줄바꿈을 하게 된다. 그렇기 때문에 다음 줄에 이메일이 출력된다. public class MyProfile { public static void main(String[] args) { System.out.println("김성박"); System.out.println("urstory@gmail.com"); System.out.println("여자"); } } ☕ print()메소드는 줄바꿈을 하지 않는다 - println()메소드는 괄호 안의 내용을 출력하고 줄바꿈 하지만, print()..
2023.03.06
no image
[java] 변수와 리터럴
☕ int i = 1; - "한줄씩 실행되는 코드"에서 위와 같은 코드가 등장했다. - 해당 코드의 구성 요소에 대해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1) int: 정수 타입을 나타내는 키워드. 키워드란 java언어에서 정한 예약어를 말한다. 앞서 등장했던 calss, public, static, while과 같은 단어들을 키워드라고 한다. 2) i: "변수 i" 라고 말한다. 변수는 하나의 값을 가질 수 있는 공간이라고 말한다. 여기서 공간이란 메모리의 어떤 영역을 말한다. i는 변수의 이름, 즉 변수명이라고 말한다. 3) 1: "정수 리터럴 1"이라고 말한다. 리터럴이란 변수에 입력된 값을 말한다. - int i = 1; 은 정수 타입 변수 i를 선언함과 동시에 1로 초기화 하였다고 한다. ☕ 메모리로 표현한..
2023.03.06
no image
[JAVA] CharAt(int i) - '0' 은 무엇인가?
CharAt CharAt 함수는 문자열에서 index를 통해 특정 위치의 문자를 반환받는 함수다. 매개변수는 int형으로 받고 리턴값은 char형으로 반환된다. String str = "환영합니다."; str.charAt(0);// 환 str.charAt(1);// 영 str.charAt(2);// 합 str.charAt(3);// 니 str.charAt(4);// 다 str.charAt(5);// . String num = "12345"; num.charAt(0);//1 num.charAt(1);//2 num.charAt(2);//3 num.charAt(3);//4 num.charAt(4);//5 만약 String형의 문자들을 CharAt 함수를 이용해서 반환 후 int형로 변환하여 계산식에 사용하고자..
2023.02.27
no image
[자바] 문자열 배열 반환하기: toCharArray()
String 문자열을 char형 배열로 바꿔서 반환해주는 메소드다. "ABCD" 라는 문자열이 있으면, arr[0] = 'A' arr[1] = 'B' arr[2] = 'C' arr[3] = 'D' 위 값처럼 char 배열을 반환해준다. 이 메서드는 String 메서드로 한번 살펴보자. 다음은 String 클래스에 정의된 toCharArray() 메서드이다. 이 문자열을 새 문자 배열로 변환합니다. Returns : 새로 할당된 문자배열의 길이는 이 문자열의 길이이고, 이 문자배열의 내용은 문자열에 포함하는 문자 내용을 순서대로 초기화한다. 즉, String으로 받은 문자열을 char 문자로 쪼갠 뒤 char[]배열에 순서대로 값을 넣어 반환한다는 뜻이다. 위에 예시로 적어놓은 것과 똑같다. toCharA..
2023.02.21
[JAVA] 절대값 : Math.abs()
Math.abs() - 절대값 구하기 Syntax static int abs(int a) static long abs(long a) static double abs(double a) static float abs(float a) Java의 java.lang.Math 클래스는 수학 연산에 필요한 다양한 메소드들을 제공합니다. 이중 abs() 메소드를 사용하면, 절대값을 구할 수 있습니다. (abs는 absolute의 약자입니다.) 예제 public class MathAbs { public static void main(String[] args) { int intNum = -1; int intAbs = Math.abs(intNum); System.out.println(intAbs); // 1 long lon..
2023.02.21
[JAVA] split된 문자열 List로 삽입하기
package step9; import java.util.ArrayList; import java.util.Arrays; import java.util.List; public class split_ex { public static void main(String[] args) { // for문을 이용한 split -> list 변환 String str = "a,b,c,d,e,f,g"; List list = new ArrayList(); String[] splitStr = str.split(","); for(int i=0; i
2023.02.21
no image
[Java] 오름차순, 내림차순 정렬방법 - sort, Collections.sort()
두개의 차이는 그냥 직관적으로도 정렬을 해주는 역할이고, Array.Sort는 배열을 정렬해주는 것이고 Collections.sort는 클래스의 객체를 정렬해준다 1. Array.sort (오름차순) Array.sort는 java.util.Arrays에 포함되어 있다. 따라서 import를 시켜서 사용을 해야한다. 사용법에 대해서 알아보자. 위처럼 배열을 만들어서 java.util.Arrays를 import 시켜서 Arrays.sort(참조변수)를 하면 정렬이 된다. 정렬이 되는 기준은 오름차순으로 숫자 > 대문자 > 소문자 > 한글순 으로 정렬이 된다. 1-1) 배열 복사 파이썬에서도 copy() 라는 내장함수가 있는데 자바는 배열을 복사해주는 것이 없을까? 했지만 이것도 있다. 위와 같이 메소드 ar..
2023.02.21
[Java] 배열 값 출력 (반복문, Arrays.toString())
그냥 배열의 값을 출력해 볼까요? [ 코드 ] public class PrintArray { public static void main(String[] args) { int[] arr = { 1, 2, 3, 4, 5 }; System.out.println(arr); // ?? } } [ 결과 ] [I@762efe5d 위와 같이 그냥 배열 변수(arr)를 출력하면 알수 없는 값이 출력된다. 여기서 출력된 값은 arr라는 변수가 가리키고 있는 [1, 2, 3, 4, 5] 값이 들어있는 메모리의 주소값이다. arr를 그대로 출력하면, 위와 같이 메모리의 주소값이 출력되기 때문에, 배열을 출력하기 위해서는 반복문을 사용하거나, 배열을 출력할 수 있는 특별한 메소드를 사용해야 합니다. 방법 1. 반복문 사용하기 ..
2023.02.21